소개글

푸른 달(Blue moon)의 의미

bluuemooon 2021. 8. 11. 20:42

 

 

 여러분은 하늘에서 푸른 달(블루문)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?  우리는 보통 푸른 달이 아닌 흰색의 달을 보고 계신다는 걸 다들 잘 아실텐데요. 블루문이라 해서 생소하실 분들도 계실거라고 생각합니다. 수입 맥주나 칵테일을 선호하시는 분들은 블루문이라는 단어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. 첫 소개글로 블루문에 대한 이야기들을 포스팅하고자 합니다. 


[블루문의 의미]

 

 

-출처:Pixabay로부터 입수된 ELG21님의 이미지 입니다.-

블루문(blue moon)은 양력의 날짜로 한 달에 보름달이 두 번 뜨는 현상이며 두 번 뜬 달을 일컫는 말입니다. 단순한 푸른 달이 아닌 달의 색상과는 상관이 없는 달입니다.

 

 

 

[블루문의 기원과 어원]

 

 블루문은 쉽게 볼수 없고 2~3년에 한 번 일어날 정도로 드문 현상입니다.

 달의 공전 주기는 27.3일이고, 달력의 양력에는 한 달에 2월을 제외 하고 30일과 31일을 갖고 있습니다. 이러한 현상으로 한 달의 1일 경에 보름달이 뜨면 30일이나 31일경에 보름 달이 한번 더 뜨는 현상이 발견 됩니다. 하지만 보름달을 풍요의 의미로 두고 있는 동양과 달리 서양에서는 보름달을 불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.

 

그렇기에 한 달에 두 번이나 뜨는 보름달을 재수 없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블루문이란 '불길한 의미를 지닌 배신자의 달이다.' 라는 의미로 이어져오고 있다고 합니다.

 

이는 어원적으로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. 어원적으로 보면, 'blue'와 같은 발음인 옛 영단어 'belewe'에는 '배신하다라는 뜻이 있습니다.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'배신자의 달(betrayer moon)'이라 칭한 게 지금과 같이 불길한 두 번째 보름달이며 발음이 유사하여 블루문으로 칭하게 되었다고 합니다.

 

-출처 : Pixabay로부터 입수된 Susan Cipriano님의 이미지 입니다. -

 

 

[블루문의 관측]

 

  살펴 본 결과 블루문은 특정한 현상이 있을 때 뜨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.

 

 블루문이 관측가능한 시기로 알려진 때는 화산폭발이나 대형 산불로 인해 대기 중에 먼지의 농도가 짙어질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. 대기 중에 먼지의 농도가 짙어질 경우 빛의 파장에 의한 변화가 생겨 푸른 빛, 심지어는 초록 빛으로 달이 띄는 현상이 일어난다고 합니다. 

 

 실제로 1883년 인도네시아의 크라카토아(Krakatoa)에서는 화산 폭발로 인해 수 일간 푸른 달이 관측되었다고 합니다. 즉, 실제 푸른 빛을 띄는 달은 천문적인 관측과는 전혀 연관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. 그렇기에 푸른 빛을 내는 달은 실질적으로 관측이 힘들다고 합니다.

 

 

[블루문의 속설]

 

 서양권에서의 블루문에 대한 인식이 불길하다 라는 반응으로 블루문이 뜨는 날은 누군가가 배신을 할 것임을 예고한다라는 속설이 있습니다. 하지만 서양권과 달리 미국에서는 블루문을 보는 인식이 다르다고 합니다. 미국에서의 블루문은 보름달을 한달에 두 번, 흔하지 않게 보는 것이니 보면 행복해진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. 동양권에서는 보름달의 의미와 같이 풍요의 의미를 두고 있어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뜰 경우 그 한 달은 풍요의 달이라고 인식한다는 속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. 

 


[푸른달의 소리] 

 

 블루문으로 정한 만큼 블루문에 대한 첫 소개글을 작성해보았는 데요. 블루문은 2~3년에 한 번 보이는 귀한 달이기도 하지만 세계의 문화에 의해 그 의미는 다다르다는 것을 알리고자 소개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. 저만의 의미를 찾고자 블루문이라는 블로그를 만들게 되었고 여러 정보를 공유하는 듯이 꾸준히 정보를 전해드리고자 블로그를 운영하게 되었습니다. 감사합니다.